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 – 창작에 영감을 더하는 고퀄리티 소스 모음

by 펜잡은초보 2025. 4. 18.

디지털 드로잉을 하다 보면 참고 이미지나 요소, 아이디어가 필요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상업적 사용이 가능한 무료 일러스트 소스를 찾는 일은 초보자에게도, 현업 작가에게도 꼭 필요한 작업입니다. 하지만 무작정 검색만으로는 고퀄리티 자료를 찾기 어렵고, 저작권 문제가 걸려있는 자료를 잘못 사용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저작권 걱정 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국내외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를 소개하고, 각 사이트의 특징과 효율적인 활용법까지 구체적으로 안내합니다. 창작의 질을 높이고, 자료 조사 시간을 줄이며, 작품 완성도를 높이고 싶은 분들께 꼭 필요한 정보입니다.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
<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 >


기본부터 알아야 할 무료 일러스트 사용 가이드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를 활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알아야 할 개념이 바로 ‘라이선스’입니다. 아무리 무료 사이트라도 모든 이미지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사이트마다, 이미지마다 이용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한 사용 조건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는 다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1. CC0 (퍼블릭 도메인): 출처 표기 없이 상업적·비상업적 자유롭게 사용 가능
  2. CC BY (출처 표시 필수): 출처를 명확히 밝히면 자유롭게 사용 가능
  3. 상업적 이용 불가: 비상업적 목적으로만 사용 가능

특히 상업적 프로젝트나 포트폴리오에 이미지를 활용하려면 CC0 또는 CC BY 라이선스를 제공하는 이미지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때도 ‘재배포 불가’, ‘수정 가능 여부’ 등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사이트 이용 약관은 처음에 꼼꼼히 읽고, 저장해두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또한 ‘직접 제작한 이미지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일부 사이트는 타인이 올린 이미지도 포함되어 있어, 업로드된 이미지가 진짜 CC 라이선스를 따르는지 확인이 어렵습니다. 이럴 경우 ‘공식 제공 콘텐츠’만 모아둔 섹션을 이용하거나, 유명한 기관에서 운영하는 사이트를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제부터는 실제로 창작자들이 자주 사용하는 고품질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각 사이트의 사용 팁과 특징도 함께 안내하니, 필요에 맞게 바로 활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외 인기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 소개와 활용법

  1. unDraw (https://undraw.co/illustrations)
    오픈 소스로 제공되는 현대적 일러스트 이미지 사이트입니다. 다양한 테마(비즈니스, 기술, 일상 등)로 구성되어 있으며, SVG와 PNG 형식 모두 제공됩니다. 특히 색상 커스터마이징 기능이 있어 브랜드 컬러에 맞춰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 강점입니다. 상업적 이용 가능, 출처 표기 불필요(CO0). 웹디자인, 앱 화면 구성에도 자주 사용됩니다.
  2. ManyPixels (https://www.manypixels.co/gallery)
    매주 새로운 벡터 일러스트를 무료로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카테고리별로 깔끔하게 정리되어 있으며, 업무, 미디어, 여행, 교육, 테크 관련 이미지가 풍부합니다. SVG와 PNG 지원, 상업적 이용 가능, 출처 표기 없음. 콘텐츠 마케팅, 프레젠테이션 자료에 유용합니다.
  3. IRA Design by Creative Tim (https://iradesign.io/)
    벡터 조각을 조합해 나만의 일러스트를 만들 수 있는 독특한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캐릭터, 배경, 아이콘 등을 사용자가 직접 조립 가능하며, 스타일 변경도 유연합니다. 디자이너나 프론트엔드 개발자들이 UI 제작에 활용하기 좋습니다.
  4. Humaaans by Pablo Stanley (https://www.humaaans.com/)
    사람 캐릭터 일러스트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입니다. 헤어스타일, 옷, 포즈, 스킨톤 등을 변경할 수 있어 다양한 인물 일러스트를 빠르게 만들 수 있습니다. 피그마(Figma)와도 연동이 가능해 협업 시 매우 효율적입니다.
  5. Open Peeps (https://www.openpeeps.com/)
    연필 스케치 스타일의 캐릭터 요소들을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오픈 소스 일러스트입니다. PNG, SVG, 피그마 등 다양한 형식으로 제공되며, 손으로 그린 듯한 느낌을 연출하고 싶을 때 좋습니다.
  6. DrawKit (https://www.drawkit.com/)
    고퀄리티 벡터 일러스트를 무료 및 유료로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대부분 무료 섹션의 이미지들도 높은 퀄리티를 자랑하며, 비즈니스, 소셜 미디어, 일상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룹니다. 사용 시 출처 표기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확인 필요.
  7. icons8 Illustrations (https://icons8.com/illustrations)
    디테일한 스타일별 일러스트가 풍부하게 제공됩니다. Isometric, Flat, 3D 등 다양한 시각 스타일을 선택할 수 있으며, SVG, PNG, JSON 형식 지원. 유료 기능도 많지만 무료 섹션만으로도 충분한 자료 확보가 가능합니다.
  8. Freepik (https://www.freepik.com/)
    국내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디자인 리소스 사이트입니다. 일러스트 외에도 아이콘, 사진, PSD 파일 등이 제공됩니다. 일부 콘텐츠는 유료, 무료 콘텐츠는 출처 표시 필수입니다. 원하는 스타일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필터 기능이 매우 편리합니다.
  9. Pixabay Illustrations (https://pixabay.com/illustrations/)
    CC0 라이선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일러스트와 사진, 영상 자료를 제공하는 대표 사이트입니다. 키워드 검색이 강력하며, 배경, 동물, 풍경 등 일러스트 스타일도 다양합니다. 단, 일러스트 퀄리티는 다소 편차가 있으므로 선별이 필요합니다.
  10. Lukasz Adam (https://lukaszadam.com/illustrations)
    개인 디자이너가 운영하는 무료 벡터 일러스트 사이트입니다. 상업적 이용 가능, 출처 표기 불필요. 작은 규모지만 콘셉트 일관성이 좋아, 브랜드 컬러나 미니멀한 구성의 작업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 일러스트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창작 전략

단순히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넘어서, 무료 일러스트를 창작의 재료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일러스트 소스를 활용한 대표적인 응용 전략을 소개합니다.

첫 번째는 레퍼런스 소스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직접적으로 이미지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다양한 구도, 컬러, 스타일을 참고하여 자기 그림에 적용해보는 연습은 색감 감각과 레이아웃 구성 능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AI 드로잉과 결합하여 프롬프트 조합 연습에 활용하기도 좋습니다.

두 번째는 배경용 요소 활용입니다. 직접 배경을 그릴 시간이 없거나, 빠르게 완성도를 높이고 싶은 경우, 무료 일러스트 사이트의 배경 이미지를 사용해 레이아웃을 구성하고, 그 위에 자신의 캐릭터나 텍스트 요소를 배치하는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세 번째는 포트폴리오 시안 구상입니다. 일러스트 포스터, 카드, SNS 콘텐츠 시안을 만들 때, 무료 일러스트 요소를 활용해 실제 적용 이미지를 만들고, 이후 그 구성을 바탕으로 자작 작업물로 완성해나가는 방식입니다. 시안 단계에서는 시간이 생명이므로, 빠르게 구성을 시각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네 번째는 색감 연구입니다. 사이트에 있는 다양한 일러스트에서 색상 조합을 추출해보고, 자신만의 컬러 팔레트를 만들어보는 연습은 색채 감각 향상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Adobe Color와 같은 컬러 추출 툴을 함께 활용하면 더욱 체계적으로 색을 익힐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라이선스를 명확히 확인하고 사용하는 습관을 들여야 합니다. 아무리 좋은 사이트라도, 한 번의 실수가 저작권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출처 표기 유무, 상업적 이용 가능 여부, 재배포 금지 조건 등을 꼼꼼히 체크해야 합니다.

무료 일러스트는 작업자의 시간과 에너지를 절약해주고, 창작의 폭을 넓히는 도구입니다. 단순한 ‘소스 찾기’에 그치지 말고, ‘어떻게 내 작업에 잘 활용할 수 있을까?’를 고민하면서 전략적으로 활용한다면, 작업의 깊이와 완성도가 눈에 띄게 달라질 것입니다.